맨위로가기

단양 우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양 우씨는 고려 광종 때 정조호장을 지낸 우현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문하시중, 판서, 성균좨주 등을 배출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35명의 문과 급제자를 냈다. 우천규와 우천석을 파조로 하여 여러 분파로 나뉘며, 각 파별로 항렬자를 사용한다. 2015년에는 약 19만 명의 인구를 기록했으며, 경상북도 영주시 등에 집성촌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양 우씨 - 우근민
    우근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행정가로, 총무처 공무원 요직과 제주특별자치도지사를 역임하며 민자당, 새정치국민회의, 열린우리당 등 다양한 정당 활동을 했으나, 공직선거법 위반, 성희롱 소송 패소, 새누리당 입당 논란 등 여러 논란이 있었다.
  • 단양 우씨 - 우명규
    우명규는 대한민국의 공무원, 토목공학자이며, 서울특별시 지하철 건설본부장과 경상북도지사를 역임했고, 성수대교 붕괴 사고로 사퇴한 이원종의 후임으로 제28대 서울특별시장에 임명되었으나 11일 만에 사퇴했다.
단양 우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단양 우씨의 종문
단양 우씨의 종문
유형씨족
국가북한과 대한민국
지역단양군
시조우현
한자
한자 표기丹陽禹氏
주요 인물
주요 인물우천석
우탁
우현보
우인열
우희열
우홍수
우홍부
우홍강
우성범
우맹선
우성전
우복룡
우창적
우하영
우범선
우덕순
우장춘
우명규
우근민
우의제
우제항
우용득
우형식
우원식
우윤근
우희종
우성만
우예종
우태희
우상호
우제창
우병우
우종수
통계
2015년 인구191,287명
집성촌
집성촌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
대구광역시 달서구·달성군
경상남도 창녕군 장마면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황해도 연백군·신천군

2. 역사

시조 우현은 고려 광종 때 정조호장(魣朝戶長)을 지냈다.[1] 우현은 이후 신숭겸(평산 신씨의 시조)의 막내딸과 결혼하여 아들 우신을 두었다.

우현의 6대손인 우중대(禹仲大)가 문하시중(門下侍中)의 자리에 오르면서[1] 단양 우씨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2][3]

우중대의 장남 우천규(禹天珪)는 남성전서(南省典書)였으며, 장녀는 정안왕후(정안왕후 우씨)였다. 차남 우천계(禹天啓)는 판서(判書)였고, 3남 우천석(禹天錫) 또한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랐다.

우천규의 아들 우탁(1262-1342)은 성균좨주(成均祭酒)로 치사하였다. 우천석의 증손자 우현보(禹玄寶)는 단양부원군(丹陽府院君)에 봉해졌다. 그의 딸은 혜경궁(혜경빈 우씨)였다.

우현보의 장손 우성범(禹成範)은 공양왕의 부마가 되었다. 10대손인 우인열(禹仁烈)은 조선(朝鮮) 개국공신으로 추대되었으며,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올랐다.

단양 우씨는 조선 시대에 35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다.

3. 분파

단양 우씨는 7세 우천규(禹天珪)와 우천석(禹天錫)을 파조로 하는 분파가 있다.

{| class="wikitable"

|-

! 파조 !! 분파

|-

| 우탁(禹倬) || 문희공파(文僖公派)

|-

| colspan="2" | 7세 우천석(禹天錫)의 후손에서 갈라진 분파

|-

| 우칭(禹偁)의 아들 우길생(禹吉生)의 후손 ||

파조분파
우홍수(禹洪壽)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우홍부(禹洪富)예안군파(禮安君派)
우홍강(禹洪康)안정공파(安靖公派)
우홍득(禹洪得)집의공파(執義公派)
우홍명(禹洪命)판서공파(判書公派)



|-

| 우칭(禹偁)의 아들 우국진(禹國珍) || 문강공파(文康公派)

|-

| colspan="2" | 8세 우팽(禹伻)의 후손에서 갈라진 분파

|-

| 우복생(禹福生)의 아들 ||

파조분파
우인열(禹仁烈)정평공파(靖平工派)
우희열(禹希烈)문숙공파(文肅公派)



|}

4. 항렬자

29세22세
30세23세
31세24세
32세25세
33세26세
34세27세
35세28세
36세29세
37세30세
38세31세
39세32세
40세33세
41세34세
42세35세
43세36세
44세37세
45세재(載)
동(東)口구(九)
口윤(允)병(柄)
남(南)口하(河)
口영(永)성(成)
무(武)口범(範)
口용(龍)인(寅)
경(慶)口화(華)
口목(睦)정(廷)
중(重)口한(漢)
口계(癸)학(學)
효(孝)口로(魯)
口주(疇)완(完)
영(寧)口경(卿)
口욱(郁)진(振)
정(庭)口기(起)
口욱(旭)상(祥)
준(準)



17세
26세
18세
27세
19세
28세
20세
29세
21세
30세
22세
31세
23세
32세
24세
33세
25세
34세
26세
35세
27세
36세
28세
37세
29세
38세
30세
39세
31세
40세
32세
41세
口희(熙)
口하(夏)
재(在)
택(宅)
口현(鉉)
口호(鎬)
영(永)
한(漢)
口식(植)
口상(相)
경(炅)
병(炳)
口기(基)
口균(均)
종(鍾)
은(銀)
口수(洙)
口문(汶)
동(東)
주(柱)
口섭(燮)
口렬(烈)
준(埈)
재(載)
口용(鏞)
口옥(鈺)
원(源)
순(淳)
口환(桓)
口빈(彬)
연(然)
희(熹)



18세
29세
19세
30세
20세
31세
21세
32세
22세
33세
23세
34세
24세
35세
25세
36세
26세
37세
27세
38세
28세
39세
29세
40세
30세
41세
종(鍾)口제(濟)상(相)口희(熙)시(時)口호(鎬)영(泳)口식(植)경(炅)口기(基)용(鏞)口순(淳)권(權)



12세
23세
13세
24세
14세
25세
15세
26세
16세
27세
17세
28세
18세
29세
19세
30세
20세
31세
21세
32세
22세
33세
23세
34세
24세
35세
25세
36세
26세
37세
27세
38세
28세
39세
29세
40세
30세
41세
31세
42세
32세
43세
33세
44세
34세
45세
창(昌)口모(模)口하(河)口영(榮)口정(鼎)口명(命)종(鍾)제(濟)
택(澤)
口식(植)
口상(相)
口희(熙)口철(喆)용(鎔)口수(洙)병(柄)口섭(燮)재(在)口호(鎬)영(永)口근(根)경(炅)口균(均)진(鎭)口순(淳)



12세
23세
13세
24세
14세
25세
15세
26세
16세
27세
17세
28세
18세
29세
19세
30세
20세
31세
21세
32세
22세
33세
23세
34세
24세
35세
25세
36세
26세
37세
27세
38세
28세
39세
29세
40세
30세
41세
31세
42세
32세
43세
재(載)口진(鎭)해(海)口동(東)하(夏)口기(基)종(鍾)口택(澤)상(相)口환(煥)재(在)口현(鉉)태(泰)口식(植)병(炳)口길(吉)용(鏞)口락(洛)근(根)口열(烈)배(培)


5. 인물

6. 인구 및 집성촌

2000년에는 162,479명, 2015년에는 191,287명이었다.[6]

단양 우씨집성촌은 다음과 같다.

지역2015년 인구비율(%)
경상북도 영주시1,754명1.71%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경상북도 안동시1,688명1.06%
경상북도 상주시747명0.8%
경상북도 예천군404명1.01%
경상북도 의성군459명0.96%
경상북도 봉화군370명1.26%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경상북도 문경시523명0.79%
경상북도 청송군157명0.67%
경상북도 영양군158명1%
경상북도 경주시1,355명0.57%
전라남도 신안군92명0.27%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전라남도 임실군62명0.26%
전라남도 부안군85명0.17%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778명0.38%
경상남도 거제시836명0.36%
경상남도 창녕군289명0.52%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달서구3,797명0.68%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대구광역시 달성군1,002명0.59%
황해도 연백군
황해도 신천군[5]


참조

[1] 웹사이트 우제(禹磾) http://encykorea.aks[...] 2022-04-10
[2]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단양우씨 丹陽禹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4]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5] 웹사이트 우씨(禹氏) 본관(本貫) 단양(丹陽)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6]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