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 우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양 우씨는 고려 광종 때 정조호장을 지낸 우현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문하시중, 판서, 성균좨주 등을 배출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35명의 문과 급제자를 냈다. 우천규와 우천석을 파조로 하여 여러 분파로 나뉘며, 각 파별로 항렬자를 사용한다. 2015년에는 약 19만 명의 인구를 기록했으며, 경상북도 영주시 등에 집성촌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단양 우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씨족 |
국가 | 북한과 대한민국 |
지역 | 단양군 |
시조 | 우현 |
한자 | |
한자 표기 | 丹陽禹氏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우천석 우탁 우현보 우인열 우희열 우홍수 우홍부 우홍강 우성범 우맹선 우성전 우복룡 우창적 우하영 우범선 우덕순 우장춘 우명규 우근민 우의제 우제항 우용득 우형식 우원식 우윤근 우희종 우성만 우예종 우태희 우상호 우제창 우병우 우종수 |
통계 | |
2015년 인구 | 191,287명 |
집성촌 | |
집성촌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 대구광역시 달서구·달성군 경상남도 창녕군 장마면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황해도 연백군·신천군 |
2. 역사
시조 우현은 고려 광종 때 정조호장(魣朝戶長)을 지냈다.[1] 우현은 이후 신숭겸(평산 신씨의 시조)의 막내딸과 결혼하여 아들 우신을 두었다.
단양 우씨는 7세 우천규(禹天珪)와 우천석(禹天錫)을 파조로 하는 분파가 있다.
29세
우현의 6대손인 우중대(禹仲大)가 문하시중(門下侍中)의 자리에 오르면서[1] 단양 우씨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2][3]
우중대의 장남 우천규(禹天珪)는 남성전서(南省典書)였으며, 장녀는 정안왕후(정안왕후 우씨)였다. 차남 우천계(禹天啓)는 판서(判書)였고, 3남 우천석(禹天錫) 또한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랐다.
우천규의 아들 우탁(1262-1342)은 성균좨주(成均祭酒)로 치사하였다. 우천석의 증손자 우현보(禹玄寶)는 단양부원군(丹陽府院君)에 봉해졌다. 그의 딸은 혜경궁(혜경빈 우씨)였다.
우현보의 장손 우성범(禹成範)은 공양왕의 부마가 되었다. 10대손인 우인열(禹仁烈)은 조선(朝鮮) 개국공신으로 추대되었으며,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올랐다.
단양 우씨는 조선 시대에 35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다.
3. 분파
{| class="wikitable"
|-
! 파조 !! 분파
|-
| 우탁(禹倬) || 문희공파(文僖公派)
|-
| colspan="2" | 7세 우천석(禹天錫)의 후손에서 갈라진 분파
|-
| 우칭(禹偁)의 아들 우길생(禹吉生)의 후손 ||
|-
| 우칭(禹偁)의 아들 우국진(禹國珍) || 문강공파(文康公派)
|-
| colspan="2" | 8세 우팽(禹伻)의 후손에서 갈라진 분파
|-
| 우복생(禹福生)의 아들 ||
|}
4. 항렬자
22세
30세23세
31세24세
32세25세
33세26세
34세27세
35세28세
36세29세
37세30세
38세31세
39세32세
40세33세
41세34세
42세35세
43세36세
44세37세
45세재(載)
동(東)口구(九)
口윤(允)병(柄)
남(南)口하(河)
口영(永)성(成)
무(武)口범(範)
口용(龍)인(寅)
경(慶)口화(華)
口목(睦)정(廷)
중(重)口한(漢)
口계(癸)학(學)
효(孝)口로(魯)
口주(疇)완(完)
영(寧)口경(卿)
口욱(郁)진(振)
정(庭)口기(起)
口욱(旭)상(祥)
준(準)